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geofencing
- Realm
- error
- Notification
- appstore
- rxswift
- github
- Code
- Xcode
- Apple
- UIButton
- 한글
- SwiftUI
- IOS
- JPA
- mac
- Archive
- Swift
- 개발자
- 이미지
- 웹뷰
- Session
- iOS16
- darkmode
- Firebase
- window
- MacOS
- Git
- FLUTTER
- view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269)
EEYatHo 앱 깎는 이야기
전체 선택 : Command + A 되돌리기 : Command + Z 복사 : Command + C 자르기 : Command + X 붙혀넣기 : Command + V 한라인 커서부터 처음까지 지우기 : Command + BackSpace 끝으로 커서 이동 : Command + 방향키 Spotlight 검색 : Ctrl + Space Mission Control 보기 / 끝내기 : Ctrl + 위 방향키 ( 어떤 창이 열려있는지 한눈에 볼 수 있는 화면 ) Space 페이지 이동 : Crtl + 좌/우 방향키 ( Space 는 Mission Control 에서 임의로 만들거나 없앨 수 있으며, 특정 화면을 전체화면으로 만들면 생기기도 함 ) 응용 프로그램 윈도우 보기 / 끝내기 : Ctrl + 아래 방향키..
자주 쓰는 단축키 Bold 처리 코딩 관련 단축키 커서가 위치한 블록 접기 : Command + Option + 좌 방향키 ( 중괄호 기준 ) 커서가 위치한 블록 열기 : Command + Option + 우 방향키 ( 중괄호 기준 ) 커서가 위치한 파일의 모든 함수 접기 : Command + Option + Shift + 좌 방향키 커서가 위치한 파일의 모든 함수 열기 : Command + Option + Shift + 우 방향키 파일, 클래스, 함수 검색 : Command + Shift + O 뒤로가기 : Command + Ctrl + 복수 커서 생성 : Ctrl + Shift + Click 선택한 라인 주석 걸기 / 풀기 : Command + / 현재 파일을 Project Navigator 에서 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xxJtU/btrRhk8DVuE/BZdOgfLvyf7JEVEklW41CK/img.jpg)
제 1장 경제를 보는 눈 01 | 투자할 때 꼭 거시경제를 알아야 할까? p 23 ~ 51 거시경제 ( 매크로 경제 ) 를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책에서 굳이 여러 예시를 들면서 설명하고 있지만, 너무나 당연한 이야기다.. 첫번째 거시경제 : 금리 최근 같은 금리 상승기의 특징은 아래와 같다. 채권. 특히 장기 채권의 가격이 하락한다. 금리가 상승하면, 낮은 금리에서 계약했던 채권의 이율은 메리트를 상실한다. 주식. 특히 성장주(고PER) 와 배당주의 가격이 하락한다. - 유동성이 줄어 들기에, 주식은 기본적으로 타격을 입는다. - 성장주의 PER이 높은 이유는 미래의 기업가치가 높다고 예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유동성이 줄어들고 경기 성장이 둔화되면 기업이 성장하기 힘들어진다. 때문에 성장주의 성장..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tFFbO/btrQYGYspSo/VTX3z9S6D1zIh9ocPQFIbk/img.png)
Test 파일 만들기 New File > Unit Test Case Class > 파일명 입력 파일명은 일반적으로 XXXTests 로 짓는다 예시로 User 의 모델이나 API 를 테스트하기 위한 UserTests 를 만들었다. 제공된 함수 설명 UintTest 파일을 만들면 4가지 함수가 있다. setUpWithError : 테스트 시작 직후, 가장 먼저 실행되는 코드. 테스트를 위한 모델이나 시스템을 정의하는 역할. tearDownWithError : 테스트 끝나기 직전, 가장 마지막에 실행되는 코드. release, deinit, dispose 등의 역할. testExample : 테스트 함수 예시. testXXX 로 명명된 함수들이 UnitTest 시 모두 실행된다. setUpWithError 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JMxKh/btrQVAph3Vf/npfv6bKJduPWlJZ7tTV0w0/img.png)
Error 갑자기 Unable to boot the Simulator. 라는 Alert 가 나오면서 시뮬레이터가 실행이 안된다. 아마 Flutter, React Native 등 여러 크로스플랫폼을 실행하다가 생긴 버그인듯,, Solution 좌측 상단 사과모양 > 이 Mac에 관하여 > 저장 공간 > 관리 > Xcode 캐시 삭제 Reference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72229589/flutter-xcode-error-unable-to-boot-the-simulato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dC3sO/btrQT96u8D2/PYEtxl8dpzY88sKyKlR6tk/img.png)
Toss 는 SWIFT 코드가 없다.. 아직 외환송금 서비스를 실시하지 않기 때문. 여러 이유로 외환송금 서비스가 필요하다면, 카카오뱅크나 국민은행 등을 이용하면 된다. + 각 은행의 SWIFT 코드 링크 + 카카오뱅크 SWIFT 코드 : CITIKRSXKAK + 국민은행 SWIFT 코드 : CZNBKRS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ylSOs/btrQVr6yRd0/jVQG7ShKU9HAzmFgzQCyzk/img.png)
SWIFT CODE Society for Worldwide Interbank Financial Telecommunication (SWIFT) 신속하고 정확한 해외송금을 위해 만든 국제적인 코드. 은행의 식별코드. 보통 영문과 숫자 조합으로 8 ~ 11자리로 이루어진다. 한국은행 BOKRKRSE IBK기업은행 IBKOKRES KDB산업은행 KODBKRSE 한국수출입은행 EXIKKRSE NH농협은행 NACFKRSE Sh수협은행 NFFCKRSE 우정사업본부 SHBKKRSEKPO KB국민은행 CZNBKRSE 우리은행 HVBKKRSEXXX 신한은행 SHBKKRSEXXX 하나은행 KOEXKRSE SC제일은행 SCBLKRSE 한국씨티은행 CITIKRSX(WLS) 카카오뱅크 CITIKRSXKAK BNK경남은행 KYNA..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D2fY5/btrQOCIQsUI/fYlzvOpaik6ibTtF2WzQ51/img.png)
에러 배경설명 API 호출시 아래와 같은 에러가 나옴 status code : 1103 NSLocalizedDescription : 리소스가 최대 크기를 초과함 Solution iOS 13 이상에서 나타나는 버그이다. API 호출 시, request 의 httpMethod 를 GET 이라면, httpBody 를 비워야한다... 🫠 body 를 통해 데이터를 전달하고 싶으면, API 가 POST 를 지원하도록 하고 사용한다. GET 을 유지하고 데이터를 전달하고 싶으면, header 나 url query를 사용한다. Reference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56955595/1103-error-domain-nsurlerrordomain-code-1103-resour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