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error
- UIButton
- Archive
- window
- Notification
- 개발자
- Session
- SwiftUI
- 웹뷰
- Apple
- view
- Git
- rxswift
- 한글
- Code
- MacOS
- JPA
- IOS
- Swift
- Xcode
- appstore
- iOS16
- FLUTTER
- Firebase
- geofencing
- mac
- 이미지
- Realm
- github
- darkmode
- Today
- Total
목록CS (6)
EEYatHo 앱 깎는 이야기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 OOP 제공해야하는 기능을 찾고 세분화하여, 필요한 데이터와 기능을 가진 객체를 만들고, 객체간의 상호작용으로 프로그램을 만든다 객체지향 설계 5원칙 : SOLID SRP ( 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 단일 책임 원칙 OCP ( Open Closed Priciple ): 개방 폐쇄 원칙 LSP ( Listov Substitution Priciple ): 리스코프 치환 원칙 ISP ( 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 ):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 DIP ( 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 ): 의존 역전 원칙 왜 따라야 하나? 수십년간 선배 개발자들이 시행착오를 거쳐 정제하여 만들어진 원칙. 주의 : S..

메모리 영역 프로세스가 적재될 때 할당받은 주소 공간 Code, Data, Stack, Heap 구조로 되어있음 ( 논리적 구분 ) 다른 프로세스들과 독립된 메모리 영역 Code 작성한 코드가 컴파일되어 기계어로 저장된 영역 컴파일 타임에 크기 결정 Read-Only Data Global(전역), Static(정적) 변수 등 언제 어디서든 접근 가능한 값이 저장되는 영역 ( static 은 Class.various 로 접근 가능 ) 컴파일시, Data 영역의 주소를 가르키게 바뀐다 전역변수가 바뀔 수 있기에 Read-Write 초기화시키지 않은 전역, 정적 변수들은 BSS(Block Stated Symbol) 영역에 따로 저장 컴파일 타임에 크기 결정 class MyClass { static let my..

개발하면서 url에 있는 fragment는 써본적이 없었는데, 카카오톡 채널기능 관련 작업을 하다가, 몇몇 url 뒤에 #none을 붙혀주는 것을 발견하고 궁금해서 찾아보니 이게 fragment란다. 특정 content의 위치를 가르키기 위한 값이며, 주로 긴 글에서 특정 문단을 가르키는 용도로 사용한다. 어떤 문서를 읽을 때, 목차에 있는 소제목을 누르면 해당 문단으로 스크롤 되는 경험이 있을 것이다. 아래 예시처럼, 한 페이지 안에서 원하는 곳으로 스크롤할 때 쓰인다고 한다. * 같은 페이지지만, 다른 스크롤 위치 https://developers.kakao.com/docs/latest/ko/getting-started/sdk-js#hybrid-app https://developers.kakao.co..
공개키, 개인키의 정의 1. 암호화 방식의 종류 중, 공개키 암호화에 쓰이는 키 쌍. 단방향 암호화 : 암호화만 가능. 복호화 불가 ( 비밀번호 저장에 사용 ) 대칭키 암호화 : 암호화, 복호화에 같은 키 사용 종류 : SHA-1, SHA-2 등 공개키 암호화 : 암호화, 복호화에 다른 키 사용 종류 : DSA ( 이산대수의 어려움을 이용 ), RSA ( 큰 수 소인수분해의 어려움을 이용 ), ECC ( 타원곡선의 성질을 이용 ) 등 공개키, 개인키의 특징 1. 둘의 성질은 같음. 공개키로 암호화한 암호문은, 개인키로 복호화 가능. 개인키로 암호화한 암호문은, 공개키로 복호화 가능. 그저, 남들에게 공개한 키를 공개키, 나만 가진 키를 개인키라고 명명한 것 뿐. 2. 용도에 따라 무슨키를 암호화에 쓰는지..

메모리 (Memory) 데이터를 반영구 혹은 임시로 저장하는 장치. 물리적인 메모리의 종류 = HDD, SSD, RAM, Register, Cache HDD, SSD ( 보조기억장치 ) 용량당 가격이 낮지만, 처리 속도가 느리다. 전원이 꺼져도 반영구적으로 데이터가 유지된다. RAM ( 주기억장치 ) HDD, SSD보다 용량당 가격이 비싸지만, 처리 속도가 빠르다. 전원이 꺼지면 데이터가 사라진다. 이런 가격과 속도의 차이로, 컴퓨터가 폰노이만 구조로 발전. 프로그램의 많은 용량을 HDD, SDD에 저장해놨다가, 사용할 때는 빠른 속도를 위해 RAM에 올려서 사용하는 식. 다양한 프로그램을 한번에 실행하는 멀티태스킹 운영체제에서, 한 프로그램 전체를 RAM 에 올리기엔 너무 비효율적 -> 프로그램에서 지..

프로그램 (Program) 파일시스템에 존재하는 실행 파일 어떤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실행할 수 있는 파일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정적인 코드 덩어리 프로세스 (Process) 정의 메모리에 적재되어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인스턴스 OS 로부터 시스템 자원을 할당받는 작업의 단위 CPU 시간 운영되기 위해 필요한 주소 공간 (링크 : 메모리 영역) Detail. 특징 프로세스는 최소 1개의 쓰레드를 가짐 (메인 쓰레드) 각 프로세스는 별도의 주소 공간에서 실행 한 프로세스는 다른 프로세스의 변수나 자료구조에 접근할 수 없다. 한 프로세스가 다른 프로세스의 자원에 접근하려면 프로세스 간의 통신(IPC, inter-process communication)을 사용해야 한다. ( ex. 파이프, 파일, 소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