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Notification
- appstore
- github
- 이미지
- UIButton
- Code
- error
- 웹뷰
- Xcode
- darkmode
- view
- Archive
- SwiftUI
- iOS16
- Git
- geofencing
- rxswift
- 한글
- JPA
- Firebase
- IOS
- FLUTTER
- Session
- window
- 개발자
- mac
- Swift
- Realm
- MacOS
- Apple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fragment (1)
EEYatHo 앱 깎는 이야기

개발하면서 url에 있는 fragment는 써본적이 없었는데, 카카오톡 채널기능 관련 작업을 하다가, 몇몇 url 뒤에 #none을 붙혀주는 것을 발견하고 궁금해서 찾아보니 이게 fragment란다. 특정 content의 위치를 가르키기 위한 값이며, 주로 긴 글에서 특정 문단을 가르키는 용도로 사용한다. 어떤 문서를 읽을 때, 목차에 있는 소제목을 누르면 해당 문단으로 스크롤 되는 경험이 있을 것이다. 아래 예시처럼, 한 페이지 안에서 원하는 곳으로 스크롤할 때 쓰인다고 한다. * 같은 페이지지만, 다른 스크롤 위치 https://developers.kakao.com/docs/latest/ko/getting-started/sdk-js#hybrid-app https://developers.kakao.co..
CS
2021. 11. 1. 13:16